고려왕조실록

고려왕조실록 91 - 고종 6

이찬조 2021. 8. 17. 07:08

고려왕조실록 91 - 고종 6

- 3차, 4차 몽고와의 전쟁

 

 

고려에서 패퇴한 직후에 몽고는 주위의 동진국과 금을 정벌하는데 힘을 기울이느라 미처 고려에 신경을 쓰지 못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고려는 약 2년 동안 몽고의 침입을 받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몽고는 1233년과 그 이듬해 동진국과 금을 차례로 멸망시키고 계속해서 남송을 공격하는 한편, 1235년부터 다시 고려를 침략하게 됩니다.

 

드디어 3차의 몽고 침략이 시작 된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의 침략은 살리타가 살해 당한 것에 대한 보복과 전날의 패퇴에 대한 앙가픔의  성격을 강하게 띠어, 몽고군은 고려에 화의를 교섭해오는 일이 없이 경상·전라도까지 침입하여 전국토를 유린하게 됩니다. 

 

이에 고려에서는 개주·온수(온양)·죽주(죽산)·대흥(예산) 등지에서 몽고군의 침략을 막아내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습니다. 당시 상황을 보면 몽고병이 온수군을 포위하자 군리인 현려 등이 문을 열고 나가 죽기 살기로 싸우니 사기가 떨어진 몽고병들은 도망 치기에 바빠 크게 이기게 됩니다. 적장 2명이 목을 베었고, 시석(矢石, 화살과 돌)에 맞아 죽은 자가 200여명이었으며, 수많은 병기도 노획하였습니다. 

 

대흥군에서는 몽고병이 성을 수일 동안 공격하도록 며칠 동안 진이 빠지도록 내버려두다가 성문을 열고 나가 급습하여 크게 이기고 역시 수많은 병기를 노획하는 성과를 거두게 됩니다.

 

하지만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오는 몽고군을 감당하기에는 너무 버거웠던 지라 1239년 4월 몽고군이 철군 할 때까지 4년 가까운 기간 동안 고려는 그야말로 전국토가 초토화되고 수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입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경주 황룡사의 구층목탑이 불타는 등 수많은 귀중한 문화재를 잃게 됩니다. 고려인들은 이렇듯 모진 시련 속에서도 결사항전을 다짐하며 불력(佛力)에 의지하여 몽고군을 물리치고자 팔만대장경의 제작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나 결사항전의 의지와 불력에 의지하는 것만으로는 몽고군을 막아내기에는 역부족 이었습니다. 

 

고려는 몽고군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가하지 못하였고, 전쟁이 장기화함에 따라 전황이 불리해지고 각지에서 피해가 늘어가자 결국 1238년에 장군 김보정과 어사 송언기를 몽고에 보내어 강화를 제의하고 철군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에 몽고는 국왕의 친조를 조건으로 고려의 요구를 받아들여 다음해에 모두 철수하였습니다. 그러나 국왕이 직접 외국에 입조하는 것이 역사상 전례가 없었을 뿐 아니라, 당시 상황에서는 대단히 위험한 일이기도 하였습니다.

 

따라서 조정에서는 고종이 모후 유씨의 상중임을 빙자하여 왕족 신안공 전(新安公 佺)을 왕의 동생이라 칭하고 대신 입조하도록 하였습니다. 그 다음해에 신안공 전은 무사히 귀국하였지만, 이때 몽고는 사신을 함께 보내와, 해도에 입보해 있는 민호를 육지로 돌아오게 하고 그 수를 점검하여 보고할 것과, 독로화 즉 인질을 보낼 것, 그리고 반몽행위를 한 고려의 관원들을 몽고로 압송할 것 등을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1241년(고종 28년)에 신안공의 종형(從兄) 영녕공 준(永寧公 綧)을 왕의 친아들로 가장시켜 귀족의 자제 10인과 함께 몽고에 볼모로 보내게 됩니다. 그런데 이때 마침 몽고에서 오고타이가 죽고 간위 계승을 둘러싼 분규가 일어났으므로 고려에 더 이상의 요구를 해오지 않았고, 따라서 고려로서는 몽고와의 화의를 당분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려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왕조실록 93 - 고종 8  (0) 2021.08.19
고려왕조실록 92 - 고종 7  (0) 2021.08.17
고려왕조실록 90 - 고종 5  (0) 2021.08.17
고려왕조실록 89 - 고종 4  (0) 2021.08.17
고려왕조실록 88 - 고종 3  (0) 2021.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