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왕조실록

고려왕조실록 83 - 희종 1

이찬조 2021. 8. 13. 08:20

고려왕조실록 83 - 희종 1

 - 왕가의 전통은 잇게 되었으나...

 

 

부왕 신종에 이어 왕위에 오른 희종은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한 이래 사라졌던 왕가의 전통을 이은 임금이 되었습니다. 의종은 왕권의 복구를 시도하다 이의민에게 살해되었고, 정중부가 멋대로 즉위시킨 명종은 최충헌이 폐위시키고 나서 내세운 왕이 신종이었습니다. 말하자면 명종과 신종은 왕가의 전통이 아닌 무신들에 의해 만들어진 임금인 셈이었습니다.

 

그러나 희종은 그 시작이 다릅니다. 죽음을 앞둔 신종은 비록 실권 없는 허수아비 임금일지언정 자신의 핏줄에게 왕위를 물려주고자 하였기에, 살아생전에 선위를 하고자 하였습니다. 자신이 죽고 나면 다음 왕의 자리는 오로지 최충헌의 말 한마디에 달린 일인지라 자신의 아들인 희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자 거듭거듭 선위의 뜻을 내비치며 간곡하게 청하였다 합니다. 부왕의 그러한 뜻을 잘 아는 희종은 몇 번을 사양하다가 끝내 눈물로써 선위를 받아들이게 된 것입니다.

 

희종은 신종과 선정왕후의 맏아들로 1181년 5월에 태어났으며, 이름은 영. 초명은 덕(悳). 자는 불피(不陂)입니다. 1200년(신종3)에 태자로 책봉되고 1204년에 신종의 양위를 받아서 대관전(大觀殿)에서 즉위하게 됩니다.

 

그러나 희종 역시 부왕인 신종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왕권은 없었으며, 국사전반에 관한 모든 결정은 최충헌에 의해서 이뤄졌습니다. 희종은 즉위 후 최충헌을 “벽상 삼한 삼중대광 개부의 동삼사 수태사 무하시랑 동 중서 문하 평장사 상장군 상주국 판 병부어사 대사 태자 태사” 라는 부르기도 어려울 정도로 길고 긴 관직을 내려 주었으며, 자신을 추대하여 왕위에 오를 수 있도록 해준 공로가 있다고 하여 최충헌을 언제나 특별 예우하였으며 “은문상국(恩門相國)”이라 불렀습니다.

 

희종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최충헌에게 중서령(中書令)의 벼슬과 진강공(晉康公) 작을 내리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최충헌은 이를 정중히 사양합니다. 세상사에 닳고닳은 백여우 최충헌으로서는 지금도 세상만사가 자기 마음대로인데 굳이 호화찬란한 명칭 한 두가지 더 붙여봐야 세상의 눈총만 받을 뿐이지 실제로는 별로 이득이 되는 것이 없는데 굳이 여론의 타겟이 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최충헌을 꺾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높여주어 그에게 환심이나 사는 편이 낫겠다고 마음먹은 희종은 다음해에 또 중서령과 진강공 관작을 주려하였습니다. 그러나 희종의 마음을 간파한 듯 최충헌은 이번에도 공이란 작위는 최고위이며, 중서령이란 벼슬은 신하로서 더 없는 고관이라며 끝내 받지를 않았습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평가해 보면, 그는 명목상의 겉치레 예우에는 사양을 할 줄도 아는 두뇌가 명석하고 상황 판단력 또한 뛰어난 인물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희종은 최충헌을 신하의 예로 대하지 않고 ‘은문상국’이란 특별한 호칭으로 부르기까지 하면서 극상의 예우를 해주었으나, 그래도 성이 차지 않았던지 최충헌은 “흥녕부”라는 관청을 따로 설치하여 여기에 요속을 따로 두었고, 흥덕궁을 자신의 궁궐처럼 사용했습니다. 게다가 민가 1백여 채를 허물어 왕실 궁궐에 못지않은 대저택을 지어놓고 집에서 외국의 사신을 맞아 잔치를 베풀면 그 규모가 역사상 전례가 없는 초호화판이었습니다.

 

이처럼 최충헌은 실제로는 왕 위의 왕, 실제 모든 권력을 움켜쥔 상왕의 존재였던 것입니다.

 

  

'고려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왕조실록 85 - 강종  (0) 2021.08.15
고려왕조실록 84 - 희종 2  (0) 2021.08.13
고려왕조실록 82 - 신종 5  (0) 2021.08.12
고려왕조실록 81 - 신종 4  (0) 2021.08.12
고려왕조실록 80 - 신종 3  (0) 202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