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교육1급

어문회 한자 1급 60회 문제풀이

이찬조 2013. 10. 29. 09:42

 

한국어문회 한자 1급 60회 문제 풀이 입니다.

 

제60차문제.hwp

 

(社)韓國語文會 주관 韓國漢字能力檢定會 시행 第60回차 全國漢字能力檢定試驗 1級 問題紙

1級

200문항 / 90분 시험 / 시험일자 : 2013. 02. 23.

* 성명과 수험번호를 쓰고 문제지와 답안지를 함께 제출하시오.

성명 ( ) 수험번호 □□□ - □□ - □□□□

 

 

[문 1-20] 다음 제시문의 밑줄 친 漢字語의 讀音을 쓰시오.

 

[1] 가뜩이나 壅塞한 살림에 군식구까지 늘었다. - 壅塞(막을옹,막힐색/변방새):생활이어려움.

[2] 陋醜하지만 잠시 쉬었다 가세요. - 陋醜[누ː추(좁을누,추할추)]:지저분하고 더러움.

[3] 회담이 膠着상태에 빠지다. - 膠着(아교교, 붙을착):단단히 달라붙음.

[4] 후배에게 직장을 斡旋해 주다.

- 斡旋(관리할알,돌선):남의 일이 잘 되도록 마련하여 줌. 주선(周旋).

[5] 가족 앞에서 지난 일을 생각하며 懺悔의 눈물을 흘리다.

-懺悔(뉘우칠참, 뉘우칠회) : 자기의 잘못을 깨닫고 깊이 뉘우침.

[6] 세태를 諷刺한 코미디가 인기 있다. - 諷刺(욀풍,찌를자):남의 결점을 무엇에 빗대어 재치 있게 경계하거나 비판함.

[7] 과수나무는 剪定을 해 주어야 열매를 크게 맺는다. - 剪定[전ː정(자를전,정할정)]:가지치기.

[8] 객석에서 揶揄가 터져 나왔다. - 揶揄[야ː유(야유할야,야유할유):남을 빈정거려 놀림.

[9] 할머니께서 紅柿를 좋아하신다. - 紅柿(붉을홍,감나무시):흠뻑 익어 붉고 말랑말랑한 감.

[10] 사무실에서 드라마를 撮影하였다. - 撮影(사진찍을촬,그림자영):형상을 사진이나 영화로 찍음.

[11] 膀胱에 결석이 생겨 수술을 하였다. - 膀胱(오줌통방,오줌통광) : 오줌통.

[12] 우주 만물에는 深奧한 이치가 있다. - 深奧(깊을심,속오):사상이나 이론 따위가 깊고 오묘함.

[13] 홍수로 인하여 논밭이 廢墟가 되었다.

- 廢墟[폐ː허(폐할폐,터허)] : 건물·시가·성곽 등의 황폐하게 된 터.

[14] 점심에는 麵類로 간단히 요기한다. - 麵類(밀가루면,무리류) : 밀/메밀국수 따위의 국수류.

[15] 친구간의 敦篤한 우정은 세월이 갈수록 큰 재산이 된다.

- 敦篤(도타울돈,도타울독) : 인정이 도타움.

[16] 崎嶇한 운명을 타고 났다. - 崎嶇(산길험할기,험할구)하다 : ① 산길이 험하다.

② 인생살이가 순탄하지 못하고 가탈이 많다. 기험(崎險)하다.

[17] 혼자서는 堪當하기 어려운 시련을 겪고 있다.

- 堪當(견딜감,마땅당):일을 맡아서 능히 당해 냄.

[18] 생기 潑剌한 젊은이들이 교정을 거닌다.

- 潑剌(물뿌릴발,발랄할랄/수라라) : 표정이나 행동이 밝고 활기참.

[19] 봉사는 자기 犧牲정신이 필요하다.

- 犧牲(희생희,희생생) : ① 천지신명이나 묘사(廟社)에 제사 지낼 때 제물로 바치는 산 짐승. 생뢰(牲牢). ② 어떤 사물·사람을 위해서 자기 몸을 돌보지 않음.

[20] 선거철에는 종종 상대를 誹謗하는 말이 떠돈다. - 誹謗(헐뜯을비,헐뜯을방):남을 헐뜯어 말함.

 

[問21-50] 다음 漢字의 讀音을 쓰시오.

 

[21] 菩薩(보리보,보살살) : ① 부처의 다음가는 성인. 보리살타(菩提薩埵). ②‘보살승(菩薩乘)’의 준말. ③ 여자 신도를 대접해 부르는 말. ④ ‘고승’의 존칭.⑤ ‘보살할미’의 준말.

[22] 孕胎[잉ː태(아이밸잉,아이밸태)] : 아이를 뱀. 임신(姙娠). 회태(懷胎).

[23] 荊棘(가시나무형,가시극) : ① 나무의 온갖 가시. ② (비유적으로) 고난.

[24] 囑託(부탁할촉,부탁할탁) : ① 일을 부탁하여 맡김. 또는 부탁을 받은 사람.

② 정부 기관이나 공공 단체에서 임시로 어떤 일을 맡아보는 공무원 또는 직원.

[25] 痕迹(흉터흔,자취적) : 뒤에 남은 자취나 자국. 痕跡(흉터흔,발자취적)

[26] 寤寐(깰오,잠잘매) : 깨어 있는 때나 자는 때. 자나 깨나 언제나.

[27] 懲毖(혼날징,삼갈비) : 스스로 징계하여 삼가 함.

[28] 奈落(어찌나,떨어질락) : 지옥 ② 벗어나기 어려운 절망적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那落(어찌나,떨어질락).

[29] 飢饉(주릴기,흉년들기) : 흉년으로 먹을 양식이 없어 굶주림. 기근 (飢饉·饑饉)

[30] 鄙軀(다라울비,몸구) : 자기 몸의 謙稱.

[31] 釋迦(풀석,석가이름가) : ① 아리아 족의 크샤트리아 계급에 속하는 종족《석존(釋尊)은 이 종족에서 났음》. ② ⦗불⦘‘석가모니’의 준말.

[32] 敷衍[부ː연(펼부,넘칠연)] : 덧붙여 알기 쉽게 자세히 설명을 늘어놓음.

[33] 咽喉(목구멍인,목구멍후) : 목구멍.

[34] 浚渫 :준ː설(깊을준,칠설) 하천이나 해안의 바닥에 쌓인 흙이나 암석 따위를 쳐내어 바닥을 깊게 하는 일.

[35] 伸寃(펼신,원통할원) : 원통한 일을 풂.

[36] 薔薇(장미장,장미미) : 장미꽃.

[37] 糢糊(법모,풀호) = 模糊(법모,풀호) : 흐리어 똑똑하지 못함

[38] 苛酷[가ː혹(매울가,독할혹) : 몹시 모질고 혹독함.

[39] 耽溺[탐닉(즐길탐,빠질닉)] : 어떤 일을 몹시 즐겨서 거기에 빠짐.

[40] 旱魃[한ː발(가물한,가물발)] : 가뭄.

[41] 嫉妬[질투(시기할질,강샘할투)] : ① 강샘. ② 다른 사람을 시기하고 깎아내리려고 함.

[42] 忖度[촌ː탁(헤아릴촌,허아릴탁)] : 남의 마음을 미루어 헤아림. 요탁(料度).

[43] 翁壻[옹서(늙은이옹,사위서) : 장인과 사위.

[44] 瘦瘠[수척(파리할수,파리할척)] : 몸이 마르고 파리함.

[45] 緋緞[비ː단(비단비,비단단)] : 명주실로 광택이 나게 짠 피륙의 총칭. 견포(絹布).

[46] 泡沫[포말 (거품포,거품말)] : 물거품.

[47] 閭閻[여염 (마을여,마을염)] : 백성의 집이 많이 모여 있는 곳. 여리(閭里). 여항(閭巷).

[48] 訥辯[눌변 (말더듬거릴눌,말잘할변)] : 더듬거리는 서툰 말솜씨.

[49] 譴責[견책 (꾸짖을견,꾸짖을책)] : ① 잘못을 꾸짖고 나무람. ②⦗법⦘공무원 등에 대한 징계 처분의 하나《잘못을 꾸짖고 앞으로 그런 일이 없도록 주의를 주는 것》.

[50] 諡號[시ː호 (시호시,부를호)] : 제왕·경상(卿相)·유현(儒賢)이 죽은 뒤에, 그 공덕을 칭송하여 임금이 추증(追贈)하던 이름.

 

[문51-82] 다음 漢字의 訓과 音을 쓰시오.

 

[51] 嗾(부추길주) 使嗾[사ː주(부추길사,부추길주) : 남을 부추겨 좋지 않은 일을 시킴.

- 嗾囑[주ː촉 (부추길주,부탁할촉)] : 남을 꾀어 부추겨서 시킴.

[52] 捐(버릴연) 義捐(의ː연) : 자선(慈善)이나 공익(公益)을 위해 돈이나 물품을 냄.

[53] 尨(클방) 尨大[방ː대(클방,큰대)] : 양이나 규모가 매우 크고 많음.

[54] 醴(단술례(예) 醴泉(예천)

[55] 朞(돌기:1개월, 1년) 1주년을 의미하는 朞

[56] 稟(여쭐품) 稟議(여쭐품,의논할의) : 상사에게 글이나 말로 여쭈어 의논함.

[57] 烋(아름다울휴)

[58] 慙(부끄러울참) 慙愧(부그러울참,부그러울괴) : 부끄러워하며 괴로워함.

[59] 笞(볼기칠태) 笞刑(볼기칠태,형벌형) : 매로 볼기를 치는 형벌.

[60] 陛(섬돌폐) 陛下(대궐섬돌폐,아래하) : 황제나 황후에 대한 공대말.

[61] 爪(손톱조) 雪泥鴻爪(눈설,진흙니,기러기홍,손톱조) : 눈 위의 기러기 발자취가 녹으면 없어지듯, 인생의 자취도 흔적이 없어짐을 비유하는 말.

[62] 猿(원숭이원) 犬猿之間 : 개와 원숭이의 사이처럼 대단히 사이가 나쁜 관계.

[63] 繩(줄승) 捕繩(포ː승) : 죄인을 잡아 묶는 노끈. 自繩自縛(자승자박).

[64] 餠(떡병) 畵中之餠(화ː중지병) : 그림의 떡.

[65] 靡(쓰러질미) 風靡(풍미) : 바람에 몰려 초목이 쓰러지듯이, 어떤 현상이나 사조가 널리 사회에 퍼짐.

[66] 痼(고질고) 痼疾(고질) : ①오래되어 고치기 어려운 병. ②오래된 나쁜 습관.

[67] 懦(나약할나) 懦弱(나약) : 의지가 굳세지 못함. 怯懦(겁나) :겁이 많고 마음이 약함.

[68] 悼(슬퍼할도) 哀悼(애도)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 追悼(추도) :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함.

[69] 朔(초하루삭) 朔望(삭망) :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

[70] 塵(티끌진) 塵埃(진애) : 티끌과 먼지. ②세상의 속된 것을 비유해서 하는 말.

[71] 娶(장가들취)

[72] 徊(노닐회) 徘徊(배회) : 목적 없이 이리저리 돌아다님.

[73] 婆(할미파) 娑婆(사바) :〔산 sabhā〕『불』 중생이 갖가지 고통을 참고 견뎌야 하는 이 세상. 인간 세계. 속세계. 사바세계. 사바

[74] 套(씌울투) 封套(봉투), 外套(외투), 常套的(상투적)

[75] 殞(죽을운) 殞命(운명)

[76] 繕(기울선 : 깁다) : 修繕(닦을수,기울선) : 낡거나 허름한 것을 손보아 고침.

[77] 灸(뜸구) 鍼灸(침침,뜸구) : 침술과 뜸질.

[78] 皿(그릇명) 器皿(기명) : 살림에 쓰는 온갖 그릇붙이.

[79] 緖(실마리서) 端緖(단서) : 일의 처음. 일의 실마리.

[80] 丕(클비)

[81] 悌(공손할제) 孝悌(효제) :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효우(孝友).

[82] 哺(먹일포) 吐哺握發(토포악발)/ 反哺之孝(반ː포지효) : 반포하는 효성. 哺乳(포유).

 

[問[83-99] 다음 제시문에서 밑줄 친 漢字를 漢字로 고쳐 쓰시오.

 

○ 우리 선조들이 수렵과 목축[83] 생산으로 생활하였을 시대에는, 그들은 육식을 주로 하였을 것이고 채취[84]한 식물성 식물은 부식물[85]이었을 것이다.(생략) 그러나 가축은 점점 귀한 식품이 되어, 그것은 지배[86]계급의 식탁에만 오르게 되어 빈궁[87]한 민중은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서 그들의 축양, 어획[88]한 육류나 어류를 지배계급에게 팔거나 제공[89]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생산자임에도 불구[90]하고 항상 영양[91] 부족증에 시달렸다. (손진태, 한국민족사론)

○ 인간은 농담[92]을 하는 동물이다. 인간만이 농담을 하며 이상성격이나 저지능인 극소수[93]를 제외[94] 한다면, 거의 모든 인간이 농담을 주고받는다. 농담은 윤활유[95]와 같다. 자칫 사막[96]처럼 건조[97]하고 전쟁터처럼 살벌[98]할 수도 있는 일상에 농담은 한 가닥 웃을 수 있는 여유[99]를 주고 때로는 한바탕 웃음이 삶에 지치고 꼬인 우리들에게 새롭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주기도 한다. (이혜성 ,어문수상)

[83] 牧畜(칠목,쌓을축) [84] 採取(캘채,취할취) [85] 副食物(버금부,밥식,만물물)

[86] 支配(가를지,짝배) [87] 貧窮(가난할빈,다할궁) [88] 漁獲(고기잡을어,얻을획)

[89] 提供(끌제, 이바지할공) [90] 不拘(아니불,잡을구) [91] 營養(경영할영,기를양)

[92] 弄談(희롱할농,말씀담) [93] 極少數(다할극,작을소,셈수) [94] 除外(섬돌제,밖외)

[95] 潤滑油(젖을윤,미끄러울활,기름유) [96] 沙漠(모래사,사막막)

[97] 乾燥(하늘건, 마를조) [98] 殺伐(죽일살,칠벌) [99] 餘裕(남을여,넉넉할유)

[問 100-122] 다음 밑줄 친 漢字語를 漢字로 쓰시오.

 

○ 모교의 교정을 둘러보니 감회[100]가 새롭다. [100]感懷(느낄감, 품을회)

○ 아름다운 목소리에 청중이 매료[101]되었다. [101] 魅了(도깨비매, 마칠료)

○ 척후병[102]은 나뭇가지와 풀로 위장[103]하고 매복[104]을 하였다.

[102] 斥候兵(물리칠척,기후후,병사병) [103] 僞裝(거짓위,꾸밀장) [104] 埋伏(묻을매, 엎드릴복)

○ 일을 마치고 돌아와 혼곤[105]히 잠들었다. : 昏困(어두울혼, 괴로울곤)

○ 방송의 편파[106]적인 보도는 시청자[107]의 판단을 저해[108]한다.

[106] 偏頗(치우칠편, 자못파) [107] 視聽者(볼시,들을청,놈자) [108] 沮害(막을저,해칠해)

○ 취업에 실패해서 기분이 울적[109]하다. [109] 鬱寂(빽빽할울,고요할적)

○ 환경[110]이 오염[111]되면 인간에게 재앙[112]이 될 수 있다.

[110] 環境(고리환, 지경경) [111] 汚染(더러울오,물들염) [112] 災殃(재앙재,재앙앙)

○ 농구[113]대회에 나가 치열한 접전 끝에 전국을 제패[114]했다.

[113] 籠球(대그릇농,공구) [114] 制覇(마를제,으뜸패)

○ 남의 책을 빌려오면 훼손[115]하지 말고 온전히 돌려주어야 한다. [115] 毁損(헐훼,덜손)

○ 그는 시 낭송[116] 모임에 빠지지 않고 참석[117]한다.

[116] 朗誦(밝을낭,외울송) [117] 參席(참여할참,자리석)

○ 선생님의 말씀에 고무[118]되어 한층 더 분발하였다. [118] 鼓舞(북고,춤출무)

○ 적자가 누적[119]되어 도산[120]하고 말았다.

[119] 累積(포갤누,쌓을적) [120] 倒産(넘어질도, 낳을산)

○ 마취[121]주사를 맞고 맹장염[122] 수술을 받았다.

[121] 痲醉(저릴마,취할취) [122] 盲腸炎(소경맹,창자장,불꽃염)

 

[問 123-132] 다음 빈칸에 뜻 혹은 訓이 같거나 비슷한 漢字를 써 넣어 單語를 완성하시오.

 

[123] (謙)遜 : 겸손할겸, 겸손할손 [124] 呻(吟) : 끙끙거릴신, 읊을음

[125] 菜(蔬) : 나물채, 푸성귀소 [126] 獻(納) : 바칠헌, 드릴납

[127] (標)榜 : 표할표, 방붙일방 [128] (貪)慾 : 탐할탐, 욕심욕

[129] 俊(秀) : 준걸준, 뛰어날걸 [130] (悠)久 : 멀유, 오랠구

[131] 纖(維) : 가늘섬, 얽을유 [132] 拿(捕) : 잡을나, 사로잡을포

 

[問 133-142] 다음에서 첫 음절이 ‘긴소리(長音)’인 것을 10개만 골라 그 번호를 쓰시오.

1. 沸騰(비ː등) 2. 陶冶(도야) 3. 模糊(모호) 4. 燦爛(찬ː란)

5. 惶悚(황송) 6. 整頓(정ː돈) 7. 緩慢(완ː만) 8. 珊瑚(산호)

9. 繁殖(번식) 10. 滿福(만ː복) 11. 拔萃(발췌) 12. 辛辣(신랄)

13. 邸宅(저ː택) 14. 浩蕩(호ː탕) 15. 竣工(준ː공) 16. 凄凉(처량)

17. 銳鋒(예ː봉) 18. 崩壞(붕괴) 19. 過剩(과ː잉) 20. 諧謔(해학)

[133-142] 1, 4, 6, 7, 10, 13, 14, 15, 17, 19.

 

[問143-152] 다음 빈칸에 제시한 漢字와 뜻이 反對 또는 相對되는 漢字를 써 넣어 單語를 완성하시오.

[143] (秩序)질서 ↔ 混沌(혼돈) [144] (收縮)수축 ↔ 膨脹(팽창)

[145] (濃厚)농후 ↔ 稀薄(희박) [146] (勤勉)근면 ↔ 懶怠(나태)

[147] (歡喜)환희 ↔ 悲哀(비애) [148] (儉素)검소 ↔ 奢侈(사치)

[149] (稱讚)칭찬 ↔ 非難(비난) [150] (經常)경상 ↔ 臨時(임시)

[151] (斬新)참신 ↔ 陳腐(진부) [152] (推仰)추앙 ↔ 凌蔑(능멸)

 

[問 153-167] 다음 빈곳에 알맞은 漢字를 써 넣어 四字成語를 完成하시오.

 

[153] 惻(隱)之心(측은지심) : 사단(四端)의 하나. 가엾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

[154] 鴛鴦衾(枕)(원앙금침) : 원앙을 수놓은 이불과 베개. ②부부가 함께 덮는 이불과 베개.

[155] 三(顧)草廬(삼고초려) : 중국 삼국 시대에, 유비가 제갈량의 초려를 세 번이나 방문하여 마침내 그를 군사(軍師)로 삼았다는 데서,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해 참을성 있게 노력한다는 말. 초려삼고.

[156] 蓬頭(亂)髮(봉두난발) : 머리털이 쑥대강이처럼 마구 흐트러짐.

[157] 天佑神(助)(천우신조) : 하늘과 신령이 도움.

[158] (弊)袍破笠(폐포파립) : 해진 옷과 부서진 갓이라는 뜻으로, 초라한 차림새의 비유.

[159] 渾(然)一體(혼ː연―일체) : 생각·행동·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160] 膏粱(珍)味(고량진미) :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161] 百八煩(惱)(백팔번뇌) : 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눈·귀·코·입·몸·뜻의 육관(六官)에 각각 고·락·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거기에 탐(貪)·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과거·현재·미래로 각각 풀면 모두 108가지가 됨》.

[162] (阿)鼻叫喚(아비규환) : 여러 사람이 참담한 지경에 빠져 울부짖는 참상의 형용.

[163] (多)岐亡羊(다기망양) : 달아난 양을 찾는데 길이 여러 갈래로 갈려 양을 잃었다는 뜻.

① 학문의 길이 다방면으로 갈려 진리를 얻기 어려움.

② 방침이 많아 도리어 갈 바를 모름.

[164] 波瀾萬(丈)(파란만장) :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갖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165] 尊(卑)貴賤(존비귀천) : 지위·신분 등의 높고 낮음과 귀하고 천함.

[166] 削奪(官)職(삭탈관직) : 죄지은 사람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이름을 지우던 일.

[167] 榮枯(盛)衰(영고성쇠) : 인생이나 사물의 성하고 쇠함이 서로 뒤바뀌는 현상.

 

[問 168-177] 다음 漢字의 部首를 쓰시오.

[168] 半(반반) : 十(열십) [169] 印(도장인) : 卩(병부절)

[170] 差(어긋날차) : 工(장인공) [171] 置(둘치) : 罒(그물망)

[172] 亢(목항) : 돼지해(亥)머리 [173] 東(동녘동) : 木(나무목)

[174] 企(꾀할기) : 人(사람인) [175] 牢(우리뢰(뇌) : 牛(소우)

[176] 黍(기장서) : 黍(기장서) [177] 主(주인주) : 丶(점주)

 

[問 178-187] 다음 漢字語의 뜻을 쓰시오.

[178] 杞憂(기우) : 쓸데없는 걱정.

[179] 糟糠(조강) : 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보잘것없는 음식(飮食)을 이르는 말.

[180] 光陰(광음) : 해와 달, 즉 낮과 밤이라는 뜻으로, 시간이나 세월을 이르는 말.

[181] 秋毫(추호) 가을철에 가늘어진 짐승의 털이란 뜻으로, 몹시 적음의 비유.

[182] 壓卷(압권) : 어떤 서책 가운데서 가장 잘 지은 대목이나 시문.

[183] 駙馬(부마) : 임금의 사위.

[184] 咫尺(지척) : 아주 가까운 거리.

[185] 茶飯事(다반사) : 흔히 있는 일.

[186] 如反掌(여반장) : 아주 쉬움

[187] 指呼間(지호간) 손짓하여 부를 만 한 거리

 

[問 188-197] 다음 漢字語의 同音異議語를 쓰되, 제시한 뜻에 알맞은 漢字語를 쓰시오.

 

[188] 甘受 : 수면이 줌 : 減壽(덜감,목숨수)

[189] 陷穽 : 군사용 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艦艇(싸움배함,거룻배정)

[190] 召命 : 까닭이나 이유를 밝혀 설명함 : 疏明(트일소, 밝을명)

[191] 模擬 : 어떤 일을 꾀하고 의논함. : 謀議(꾀할모,의논할의)

[192] 油脂 : 어떤 상태나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거나 유지함. 維持(얽을유, 가질지)

[193] 鍼筒 : 슬픔이나 걱정 따위로 몹시 마음이 괴롭거나 슬픔 : 沈痛(가라앉을침,아플통)

[194] 花郞 : 미술품을 진열하여 관람하도록 만든 방. : 畵廊(그림화,복도랑)

[195] 鬪士 : 광선이나 그림자를 비춤. : 透寫(통할투,베낄사)

[196] 咀嚼 : 예술이나 학문에 관한 책이나 작품 따위를 지음. : 著作(지을저,지을작)

[197] 斜陽 : 겸손하여 받지 않음. : 辭讓(말씀사,사양할양)

 

[問 198-200] 다음 漢字를 略字로 쓰시오.

 

[198] 壹(한일) : 일(옥편참고) : 선비사(士) 아래 민갓머리 아래 비수비(匕)

[199] 擔(멜담) : 담(옥편참고) : 재방변에 아침 단(旦)

[200] 遷(옮길천) : 천(옥편참고) : 일천천(千) 아래 책받침. 끝.

 

제60차문제.hwp
0.0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