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10)> 태조-1
- 조선 개국과 대재앙의 씨앗 잉태
이성계는 정도전과 의기투합한 지 10여 년 만에 고려의 마지막 왕이 되었습니다.
이성계는 즉위한 후 명나라 주원장이 낙점한 조선이라는 국호(1.조선 2.화령 중 하나를 정해달라고 한것임)로 새나라를 출범시키고, 이숭인 등 정몽주의 측근 8명의 학자를 곤장으로 쳐 죽이는 등 반혁명세력의 핵심분자들을 가차 없이 제거함과 아울러 공이 있는 자들을 개국공신으로 임명하는 등 발 빠른 행보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공이 누구 못지않게 큰 이방원 등 그 아들들을 하나도 공신으로 선정하지 않았으니, 이것은 세자책봉 문제와 더불어 훗날 벌어질 엄청난 비극의 씨앗이 됩니다.
이성계는 부인이 둘 있었는데, 첫째 부인은 6남 2녀를 남긴 후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에 사망했고, 둘째 부인은 2남 1녀를 낳고, 조선의 중전이 되는 호사를 누리게 됩니다.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여 왕이 된 후 자연스럽게 세자를 책봉해야 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는데, 장자인 이방우가 세자가 되지 못하므로(이방우는 한량으로 정치에 관심이 없었다고 함),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이 크고 왕제를 갖춘 이방원이 세자가 될 것으로 예측했으나, 예상을 뒤엎고 둘째 부인인 중전의 막내 아들 방석이 세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는 중전의 욕심, 정몽주를 쳐 죽인 이방원을 꺼린 이성계, 재상주의를 실현하려는 정도전 등의 이해가 합치된 결과였고, 이성계는 이방원의 반발 정도는 자신의 카리스마로 충분히 제압 가능한 것으로 본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몽주를 쳐죽이는 광기를 보고도 그 집요함과 과감함을 간과한 것으로, 이러한 세자책봉은 결국 훗날의 2차례에 걸친 피비린내 나는 왕자의 난의 빌미가 되고 맙니다. 이성계도 여자의 치맛바람에 헐떡거려, 아들 8명중에 어린 막내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니, 어쩌면 作法自斃(작법자폐) 즉 지눈 지가찌른거지요.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실록 12> 태조 3- 명나라와의 갈등 (0) | 2021.03.17 |
---|---|
<조선왕조실록 11> 태조 2- 이성계와 정도전의 우정, 그리고 이방원의 절치부심 (0) | 2021.03.17 |
<조선왕조실록 (9)> 개국 7 - 역성혁명 (0) | 2021.03.17 |
<조선왕조실록 (8)> 개국-6- 고려를 지키려는 자, 정몽주 (0) | 2021.03.17 |
<조선왕조실록 (7)> 개국-5- 위화도회군과 최영의 죽음 (0)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