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55)> 선조 3
- 사화, 붕당, 그리고 조선의 위기
조선시대 정치를 설명하는 가장 대표적인 키워드는 ‘사화(士禍)’와 ‘붕당(朋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세조의 계유정난 이래 기득권을 가진 기존 관료 집단인 훈구파가 조정을 좌우하고 있었는데, 15세기 말엽부터 훈구파를 비판하는 사림파(士林派)가 대두했고, 이후 양자의 충돌로 여러 차례 사화가 발생하여, 사림의 무수한 선비들이 옥사하였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습니다.
그 후 선조 대에 이르러 윤원형 같은 외척세력이 쇠퇴하자, 사림이 다시 정계로 대거 진출하였는데, 사림 사이에 정치적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무리끼리 뭉쳐 상대방과 반목하게 되니 이것이 바로 붕당입니다.
선조 대에 김효원과 심의겸의 이조정랑 추천 문제로 생긴 양자의 반목으로 관료들이 동인과 서인이 갈린 이래, 나아가 재야의 유생들까지도 어느 한쪽을 지지해, 결국 거의 모든 사림이 대를 이어가면서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사림의 동서분당 이후 붕당은 계속 핵분열을 일으켜, 동인은 정여립 모반사건을 계기로 강경론을 주장한 남인(南人)과 온건론을 주장한 북인(北人)으로 갈리었습니다.
또한 서인(西人)은 나중에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으로 갈리니, 이와 같이 남인, 북인, 노론, 소론을 흔히 사색(四色)당파라 하였습니다.
붕당간의 대립은 지극히 배타적이었을 뿐더러 주로 복상(服喪) 문제, 세자책봉 문제 등 민생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국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즉, 치열한 붕당간의 대립은 영조, 정조 등의 탕평정책으로 다소 누그러졌지만 19세기에는 세도정치로 발전해 망국의 길을 초래하게 되었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붕당정치의 평가는 곧 서양의 정당정치에 비견될 장점이 상당히 있다는 긍정적 평가 역시 존재합니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망국의 상황을 생각해본다면, 폐해만 많은 이러한 긍정적 평가는 쓰레기통에 버려야 한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선조 즉위 이래 조선은 이와 같이 동인, 서인으로, 동인이 다시 남인, 북인으로 나뉜 붕당정치에 골몰하고 있었고, 역사의식과 통찰력이 없는 임금은 붕당을 이용해 왕권을 유지하기에 급급했습니다.
그러나 조선을 둘러싼 주변의 국제정세는 급격하게 위험한 형국으로 치닫고 있어, 아차 하다가는 백성은 몰살을 당하고 나라는 통째로 사라질 판이었습니다.
이렇게 위험한 형국을 호랑이 앞의 토끼 신세인 조선만 정작 모르고 있었으니, 불쌍한 것은 오로지 백성이었습니다.
계파 싸움하다 시간 다 보내고, 저들의 권력싸움에 아무것도 모르는 백성들의 생활은 점점 피폐 해집니다.
저들의 정치는 과연 무엇을 위한 정치인가~ ?
임진왜란,병자호란 앞에서 처참해지는건 백성들~~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실록(57> 선조 5 - 예고된 침략(2) (0) | 2021.04.13 |
---|---|
<조선왕조실록(56)> 선조 4 - 예고된 침략(1) (0) | 2021.04.08 |
<조선왕조실록(54)> 선조 2 - 율곡 이이 (0) | 2021.04.08 |
<조선왕조실록(53)> 선조 1 - 동서분당(東西分黨) (0) | 2021.04.08 |
<조선왕조실록(52)> 명종 2- 명종의 죽음과 사림의 재등장 (0) | 2021.04.06 |